2011년 11월 24일 목요일

교육 중간에..

회사에서 진급 교육을 받고 있습니다.
교육 자체는 이런저런 나의 관심과 상관없는 이야기들이 주를 이루어서..
교육은..ㅎㅎ.. 교육은 별로 재밌진 않습니다.

물론 다른 일을 하는 사람들을 만나서 그들의 이야기도 듣고 하는 것은 재밌습니다. 
제가 속한 팀은 h/w 쟁이도 있고, s/w 쟁이도 있고, staff 부서도 있네요. display에 대해서도 이런 저런 얘기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lcd니 oled 니 재밌네요.

디자이너도 있습니다. 디자인 얘기는 관심있던 분야라 재미있네요. 과제중에 그림과 관련된 것은 모두 디자이너 담당인데 역시 다르긴 다릅니다.
터치 하나 하나에 "과연..." 하는 감탄사가 저절로 나오네요..

평소엔 바쁘다는 핑계로 목표니, 목적이니, 나의 꿈이니 하는 것들에 대해서 생각해 보지 못했는데, 이번 교육으로 그런것들을 다시 한번 생각해 봅니다.

이제는 웅크리고 있지 말고 도약해야 할 시기인 것 같습니다. 기회가 왔을때 놓치지 않기 위해서 준비해야 할 때인것 같습니다.

시간을 더 소중하게 여기고 주변을 다시 돌아봐야 할 때 인것 같습니다.

지금보다 더 성장한 내가 되겠습니다.

2011년 10월 5일 수요일

Jenkins(Hudson) 에서 android junit test 보여주기

Jenkins 에서 android junit test 결과를 보여주는 방법에 대해서 며칠을 고민한 후
adb locat을 이용하여 test runner tag의 log를 저장, parsing 하여 xml 파일을 만들어 내려고 했다. 오늘 회사에서 하려고 하는 찰나, google 을 한번 더 검색하였고,
이미 만들어져 있는 훌륭한 test runner 를 발견 바로 적용하여 xml 파일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오늘의 첫 블로그는 바로 그 내용에 대한 것이다.

1. Android JUnit Report Test Runner 다운받고 사용하기
아래 사이트에서 Readme 를 꼼꼼히 읽고 그대로 따라하면 모든 것이 만사 OK.
어려운 내용이 전혀 없다.
https://github.com/jsankey/android-junit-report
Android test runner를 상속받아서 이런 것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2. 따라해도 잘 안되던 몇가지..
- 사용할 test runner 변경하기
AndroidManifest.xml 파일에서 instrumentation tag의 name만 변경해주면 된다.
<instrumentation 
   android:targetPackage="your package"
   android:name="com.zutubi.android.junitreport.JUnitReportTestRunner" />
uses-library 는 원래것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 Eclipse 에서 Run android junit test 하기 전에 run configuration 을 바꿔줘야 한다.

- Readme 파일에 나와 있는 fetch-test-report target 을 다음과 같이 해줘야 실제 test report를 제대로 가져올 수 있다. 
<property name="test.runner" value="com.zutubi.android.junitreport.JUnitReportTestRunner" />
    <property name="reports.dir" location="test_report" />
    
    <target name="fetch-test-report">
        <echo>Downloading XML test report...</echo>
        <mkdir dir="${reports.dir}"/>
        <exec executable="${adb}" failonerror="true">
     <arg line="${adb.device.arg}"/>
            <arg value="pull" />
            <arg value="/data/data/${tested.manifest.package}/files/junit-report.xml" />
            <arg value="${reports.dir}/junit-report.xml" />
        </exec>
    </target>   
- ant build시에 다음과 같이 target 명시해서 test 할 수 있다.
ant clean coverage fetch-test-report
- fetch 된 junit-report.xml 파일을 Eclipse에서 import 해서 보면 정상적으로
생성 되었음을 알 수 있다.


3. 첫 블로그질을 마치고...
처음으로 쓴 짧디 짧은 블로그.
짧지만 글을 쓴다는 것이 이렇게 어려운 일인지 요즘 다시 느끼고 있다.
기술적인 글이지만,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잘 표현한다는 것은 참 부러운 능력이다.
더 연습해야겠다.